-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자격증따면 취업 잘 되나요?슬기로운 직장생활 2023. 2. 1. 13:39
안녕하세요!
벌써 2월의 시작이고 수요일이네요.
20대 초반만 해도 시간이 빨리 간다는게 무슨 의미인지 몰랐는데,
요즘들어 시간이 빨리 흘러 가는걸 느끼게 되네요..ㅎㅎ
이번에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취득하는 자격증이
과연 취업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되는지, 왜 선생님들은 자격증을 강조하는지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해요.
참고로 제 글은 제 경험에 의한 철저히 주관적인 내용입니다.
큰 동요 보다는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과연 자격증이 꼭 필요한가?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어떤 곳에 취업 하냐에 따라 다릅니다.
공기업 및 공무원으로 취업하고 싶은 경우, 무조건 관련 학과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
여러분이 잘 알고 계시는 '기능사' 자격증이 필요하죠.
하지만 여러분이 흔히 알고 있는 대기업의 경우 필수 조건은 아니에요.
부가적인 옵션일 뿐입니다.
실제로 이력서 내에 자격증을 기입하는 란이 있으나,
필수 값은 아닌걸 확인할 수 있을거에요
특성화고 재학 시절 저도 공기업, 대기업에 이력서를 제출 했었지만,
대기업 같은 경우는 필수가 아니었습니다!
두번째 많이 물어보는 질문은,
자격증을 많이 따면 좋지 않나요?
뭐든 많은게 좋지 않냐? 라는 질문도 많이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조금 달라요.
자격증 따는거 쉽지 않습니다.
심지어 중간고사2번 기말고사2번이 있는데,
시험기간과 기능사 일정이 겹치면 공부량이 상당하죠..
저 같은 경우도 고등학교 재학 당시 기능사 자격증 3개를 취득했습니다.
굉장히 시간에 쪼들리면서 살았죠..ㅋㅋ
하지만 공기업 이력서 제출 당시,
관련 자격증 1개만 기재하게 되어있더라구요.
결론은 내가 자격증을 5개를 취득해도 1개를 취득해도,
쓸수 있는 자격증은 오직 1개라는 것입니다.
제가 이걸 특성화고 재학 당시 알았더라면,
차라리 내신에 조금 더 신경쓸 것 같아요.
왜냐구요?
대기업은 자격증의 개수보다, 내신을 더 많이 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관련 학과 자격증과는 무관한 직종에서 일하게 되었고,
(이공계인것만 같음)
소프트웨어 관련된 자격증은 아예 취득하지 않았습니다.
전기,전자 관련된 자격증을 실제로 5개를 취득하였습니다.
전기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산업기사, 전자기사
기능사는 고등학교 재학당시 3개를 취득하였고
산업기사 및 기사는 회사 재직중에 취득하였습니다.
필요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그냥 전기전자라는 분야가 좋아서 취득한 케이스에요.
그 외로 많이 물어보시는게 컴활 자격증인데요,
저는 컴활은 취득하지 않았고 워드프로세서만 취득하였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나쁘다고 하는 것은 아니에요.
다만 내신보다 중요하지 않다는걸 말씀드리는 거에요.
여러분이 만약에 나중에 대학교를 가고 싶더라도,
대학교에서는 자격증 개수보다 내신을 더 봅니다!
여러분은 꿈이 있나요? 저는 없어여...^^ '슬기로운 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성화고 대학교 꼭 가야하나요? (0) 2023.01.31 SoftWare QA 엔지니어가 뭐에요? (0) 2023.01.31 특성화고 졸업 , 고졸 취업 현실이란 (1) 2023.01.31